'Master's D*'에 해당되는 글 42건

  1. 2008.11.14 [MBA]서울대 경영대학원 MBA 교육프로그램
  2. 2008.11.02 [MBA]SDA Bocconi MBA in Italy
  3. 2008.10.16 [MBA]국내Mba
  4. 2008.10.13 [MBA]Consulting Firm 1
  5. 2008.09.23 [MBA]QS World Mba Tour in Seoul

Global MBA 

1. Introduction

Excel with the SNU Global MBA!
Global MBA 프로그램은 글로벌 랭킹 진입을 목표로 하는 서울대 경영전문대학원의 flagship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전체 4학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45학점(전공필수 12과목, 24학점)을 이수하는 체제로 방학 없이 운영합니다. 즉, 12개월에 걸친 집중적인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수업 시간과 교육내용은 미국의 2년제 MBA 과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합니다. 따라서 교육의 질적 수준은 유지하면서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인턴십을 하거나 해외 유수 대학에서 복수학위과정 또는 교환학생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좀더 여유 있게 학위를 취득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은 모든 강의와 토론을 영어로 진행합니다. 전공필수 과목은 서울대학교 교수진이 담당하며, 선택과목은 50% 이상을 해외 유수 대학으로부터 초빙된 외국인 교수들이 강의할 것입니다.

2008/2009 글로벌 MBA 클래스는 2008년 8월 21일 오리엔테이션을 시작으로 1년 과정을 수강하게 됩니다.

2. Curriculum

2008년 Global MBA 학습계획

학기 과목 담당교수 비고
1st Term(12W) 2008.8.25~
2007.11.14
  • 관리경제학
  • 통계학과 의사결정모형
박철
오정석
8/25-9/19
  • 재무회계
  • 마케팅
백복현
주우진
9/22~10/17
  • 생산서비스 운영
  • 재무관리
양홍석
채준
10/20-11/14
1학기말 방학(1주)
2nd Term(12W) 2008.11.24~
2009.3.6
  • 전략
  • 관리회계
송재용
안태식
11/24-12/19
2학기 연말 방학(2주)
  • 인적자원관리
  • IT
김성수
박진수
1/5-2/6
  • 국제경영
  • 조직행위론
박남규
최진남
2/9~3/6
2학기 말 방학(2주)
3rd Term(8W) 2009.3.16~
2009.5.8
선택과목 4개  외국인 방문교수 3/16~3/27
3/30~4/10
4/13~4/24
4/27~5/8
3학기 말 방학(1주)
4th Term(12W) 2009.5.18~
2009.8.7
선택과목 4개 
경영실습
경영프로젝트
외국인 방문교수 5/18~5/29
6/1~6/12
6/15~6/26
6/29~7/10
7/13~8/7
※ 구정연휴기간(1/25~1/27) 동안은 수업 없습니다.
※ 담당교수는 학교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3. School Calendar

2008/2009 Global MBA 일정

등록 2008년 6월중
Pre-term 2008년 8월 18일~20일
입학식 및 오리엔테이션 2008년 8월 21일~22일
개강 2008년 8월 25일
1학기 2008년 8월 25일~11월 14일
2학기 2009년 11월 24일~2009년 3월 6일
3학기 2009년 3월 16일~5월 8일
4학기 2009년 5월 18일~8월 7일
졸업식 2009년 8월중
* G-MBA 상세 입학 안내 및 온라인 원서접수

SNU MBA

1. Introduction

SNU MBA는 한국 기업의 경영현실과 글로벌 스탠더드의 조화를 추구하는 실용적인 교과과정으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입니다. 크게 경영일반 트랙(General Management Track)과 금융MBA 트랙(Finance MBA Track)으로 구성되어 학생들의 개별적인 니즈에 따라 선택적 수강이 가능합니다. 1년 집중 주간 MBA 프로그램으로 전공필수 과목은 서울대 교수진이 담당하며, 2학기에는 Global MBA와 함께 해외 저명교수로부터 영어로 개설된 과목을 수강하게 되고, 3학기와 4학기에는 서울대 교수진과 외부 전문가가 팀티칭하는 형태로 강의가 진행되어 실용적인 측면에서 매우 깊이 있는 경영학 학습이 가능합니다.

해외 유수 대학에서 한 학기 또는 두 학기에 걸쳐 교환학생 프로그램으로 추가적으로 수학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되며, ESSEC등 해외 유수 대학에서 Dual Degree Program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할 예정입니다.

2. Curriculum

2008년 SNU MBA 학습계획

학기 모듈 과목 담당교수
1학기
(16주)
01/07 ~ 05/09
1st 재무회계 최종학
조직행위론 김태규
통계와 의사결정모형 김수욱/김진교
2nd 인적자원관리 강성춘
관리회계 안태식
관리경제학 오정석
3rd 전략 박철순
재무관리 채준
생산서비스운영 김수욱
4th 국제경영 이동기
IT 장정주
마케팅 김상훈
Break (2008.5.10~5.18) - 1주
2학기
(12주)
05/19 ~ 08/08
1st Competitive Strategy Stepehn Mezias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 Valuation Per Olsson
Topics in Marketing Wagner Kamakura
2nd Business Negotiation Tory Higgins
Derivatives Kewei Hou
Consumer Behavior Novemsky & Nunes
3rd Managing Changes Johannes Pennings
M&A and Governance Anil Makhija
Business Ethics & Legal Issues Ray Horton
4th Topics in Accounting (FSA & Valuation) Peter Easton
Operations Strategy Uday Karmarkar
Marketing Research Kurt Carlson
Break (2008.8.9~8.24) - 2주
3학기
(8주)
08/25 ~ 10/17
1st 국제재무관리 민상기
금융기관 경영론 김영진
마케팅 전략 임종원
2nd 전략적 원가관리 안태식
서비스 마케팅 이유재
투자론 고봉찬
자본시장론 윤계섭
Break (2008.10.18~10.26) - 1주
4학기
(8주)
10/27 ~ 12/19
1st 기업세무전략 정운오
고급기업재무 조성욱
금융공학과 위험관리 조재호
기술과 경영혁신 안중호
2nd 전략적 혁신관리 조동성
인사조직특강 (조직설계) 미정
채권분석 박철
생산관리특강 미정

 

 Executive MBA

Executive MBA 프로그램은 기업에서 현업에 종사하고 있는 인재들에 대한 경영학 교육을 통해 21세기를 준비하는 미래형 경영자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정규 석사학위 과정입니다. 이 과정은 2년에 걸쳐 진행되는 주말 (금요일 및 토요일 수업) 집중 MBA 프로그램으로서, 5년 이상의 실무경력을 지닌 실무 중견 경영진을 대상으로 하며 2009년도 개설을 위해 준비 중에 있습니다. 총 정원은 120명 예정 입니다.

이 과정에서는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협력촉진에 의한 법률"에 의거하여, 기업의 파견에 의한 형태로 대학에서 학생을 직접 모집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에서 파견한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합니다. 즉 기업체에서 파견한 지원자만 지원할 수 있으며, 개인 지원자는 받아들이지 않는 과정입니다. 수업은 수원 광교 테크노벨리 소재 차세대융합기술원 또는 서울 소재 기존 경영전문대학원 강의실에서 진행 될 것입니다. 첫 1년간은 공통과목을 수학한 후, 기술경영, 인문, 예술, 금융 등 각 세부 전공분야로 나누어져서 2년차에는 전공별 수업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출처: 다음까페 MBA School]

'Master's D*'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A]2008 MBA Ranking  (0) 2008.11.18
[MBA]SDA Bocconi MBA in Italy  (0) 2008.11.02
[MBA]국내Mba  (0) 2008.10.16

[MBA]SDA Bocconi MBA in Italy

Master's D* 2008. 11. 2. 21:34 posted by 빵쥬

Dear all of you

 
We are very pleased to inform you that we will soon be in South Korea to present SDA Bocconi MBA courses.
 
SDA Bocconi, the Business School of Bocconi University, has been ranked 1st in Italy, 5th in Europe and 15th in the world by the latest Financial Times’ Ranking.
 
Located in Italy, in Milan, the country's economic and financial heart. Fashion, design, finance and media are the advanced sectors that drive Milan's economy.
 
Some first details and characteristics about our MBAs: the full-time MBA is a 12-month program, entirely run in English, very intense and demanding, offering a truly global experience. Our MBA students, all very selected profiles, come from more than 30 countries. They all made a major decision: investing in themselves to grow, personally and professionally. And they chose SDA Bocconi as their partner for this change. Our Global Executive MBA is for managers who wish to map out a serious program of growth and training in career areas with high international exposure without sacrificing the continuity of their existing work commitments.  The Course is run in modules, two of them in collaboration with, respectively the UCLA business school (Los Angeles) and Fudan University in Shanghai.
 
Should you want to learn more about our offer, join us at this event:
 
in Seoul on November 4th 2008 from 5.00 pm to 9.00 pm
at the JW Marriott Hotel Seoul, 19-3 Banpo-dong Seocho-gu
 
Our SDA Bocconi representative will also take part in the panel "Getting Into Business School" which will start at 5:00 pm.
 
Here you’ll be able to meet our School reps and alums. Should you be interested, you will also have the chance to schedule a one-to-one Orientation Meeting, where you will be able to ask specific questions, learn more about our School and MBA courses.
 
Please register online: www.sdabocconi.it/meetmba
 
We look forward to meeting you.
 
Best Regards,
 
Francesca Roveda
Recruiting and Admissions Service
Masters Division
Via Balilla 18 - 20136 Milan - Italy
Tel. +39 02 5836.3298

'Master's D*'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A]서울대 경영대학원 MBA 교육프로그램  (0) 2008.11.14
[MBA]국내Mba  (0) 2008.10.16
[MBA]Consulting Firm  (1) 2008.10.13

[MBA]국내Mba

Master's D* 2008. 10. 16. 08:52 posted by 빵쥬

2006년 9월 문을 연 ‘한국형 경영전문대학원(MBA)’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연세대·성균관대·이화여대·한양대 등 7개 대학이 문을 열었던 한국형 MBA 과정은 2007년 5개 대학에 더 생겼다. 현재 이들 대학 MBA 과정의 재학생 수는 1100여 명. 매년 졸업생이 쏟아져 나오고 있어 성공적인 취업을 하려면 스스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추는 게 필요하다.

서울대 글로벌 MBA는 지난달 29일 2기 학위수여식을 했다. 졸업생 중에는 금융권 요직으로 옮겨 경력 전환에 성공했거나 억대 연봉의 꿈을 이룬 이들도 있었다. 국내 MBA를 100% 활용해 자신의 몸값을 높이고 전직에 성공한 사례를 알아본다.

경영 실무 전반을 가르치는 MBA는 많은 직장인들에게 경력 전환과 이직을 실현하기 위한 징검다리로 인기를 얻고 있다. 사진은 국내 MBA 대학원의 ‘고객관계관리’ 수업 장면. MBA에서는 토론과 실습, 사례 연구 수업 방식으로 학생들의 실무 처리 능력을 키운다. [KAIST 제공]
◆대기업 기획실에서 전략 컨설턴트로=국내 전자 관련 대기업 출신 이모(35)씨. 그는 졸업 한 달여 전 일찌감치 글로벌 컨설팅 업체 입사를 결정했다. 국내 MBA 출신으로 곧장 컨설턴트로 입사하는 것은 흔치 않은 일이다. 연봉도 해외 톱 클래스 MBA 출신 못지않게 받았다. 전에 다니던 회사에서 전략 관련 업무를 했던 그는 실무 경험에 비해 이론이 부족하다는 생각에 MBA에 지원했다. 해외 학교도 고려했지만 ROI(Return of Investment:투자수익률)를 고려할 때 1년 안에 모든 과정을 마칠 수 있는 국내 과정이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이씨는 입학 직후부터 경력 전환 전략을 짰다. 팀 프로젝트에선 항상 주도적인 위치에 섰다. 팀원들의 이야기를 듣기 전, 자신의 생각을 먼저 세워놨다. 남의 의견에 영향 받지 않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다.

기업 사례를 연구하는 ‘케이스 스터디’ 때는 기업이 어떻게 됐는지부터 알아보기보다 자신만의 해답을 구하는 데 주력했다. 기업의 핵심 역량을 파악한 뒤, 그 결론이 단기적 이익이 아닌, 진정한 기업의 가치 제고를 위한 것인지 되물었다. 전략·국제경영 등의 과목에서 배운 이론적 틀(Framework)에는 항상 다니던 기업의 사례를 적용시켜 봤다. 3, 4학기 선택과목을 들을 때는 일부러 재무 관련 수업을 집중적으로 들었다. 평소 부족한 분야라고 느꼈던 터라 컨설팅 업무를 위해선 꼭 넘어야 할 산이라 여겼기 때문이다.

교내외 경연대회에도 활발히 참여했다. 방학 없이 진행되는 1년 과정이라 인턴 기회가 없는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다. 삼성증권에서 주최한 프로젝트에선 국내 게임업계에 대한 투자 전략을 연구했다. 평소 수업 준비만도 빠듯했지만 주말 시간을 모두 할애해 프로젝트에 매달렸다. 컨설팅 업무를 실제로 경험해 볼 좋은 기회였기 때문이다. 발표는 삼성증권 고위 임원진 앞에서 영어로 진행됐다. 이씨는 “전문가들 앞에서 프레젠테이션한 것은 소중한 경험이었다”며 “같은 팀 5명 가운데 3명이 삼성증권에 합격했다”고 말했다.

면접 준비는 입학 직후부터 꾸준히 했다. 컨설팅 인터뷰 관련 책을 구해 읽어보긴 했지만 여기에 전적으로 의존하진 않았다.

◆자동차 마케터에서 증권사 리서처로=국내 자동차 기업에서 일하던 박인우(29)씨는 파이낸스 분야로 경력 전환에 성공한 경우다. 입사 후 줄곧 마케팅 업무를 해왔던 터라 MBA에 지원할 때만 해도 금융권으로의 진출을 생각하진 않았다. 그러나 첫 학기를 마치자 마자 파이낸스로 진로를 정했다. 재무회계·재무관리·경영통계 등의 과목이 적성에 맞았던 것이다. 공대 출신이라 숫자가 나오는 과목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수업 후엔 학생들을 모아놓고 따로 보충 강의를 해 줄 정도였다. 3, 4학기 선택과목을 들을 때는 가치평가(Valuation)·인수합병(M&A)·투자론(Investment) 등 재무 관련 과목으로만 시간표를 짰다. 이 과목 학점은 늘 ‘A+’. 그는 어렵기로 소문난 미국 프린스턴대 해리슨 홍(Harrison Hong) 교수의 투자론 수업에서도 1등을 했다. 홍 교수는 “내 수업에서 A+를 받은 학생은 전 세계에서 몇 안 된다”며 칭찬하기도 했다.

현재 금융통화위원인 최도성 전 교수의 재무관리 수업부터 미국 듀크대 올슨(Per Olssen) 교수의 가치평가 수업까지 그는 수업에서 배운 핵심 내용을 노트 한 권에 빼곡히 담았다. 문제 풀이 역시 한 노트에 정리, 다른 과목을 들을 때 비교, 분석할 수 있게 했다.

글로벌 투자기업 칼라일그룹이 주최한 ‘칼라일 컴피티션(Carlyle competition)’은 실무 경험을 맛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유망한 국내 기업을 가치평가한 뒤, 그 결과물을 가지고 칼라일그룹에 실제 투자를 제안하는 방식. 5명의 멤버 가운데 박씨는 재무제표 분석과 가치평가 작업을 도맡았다. 박씨는 졸업 전 우리투자증권 리서치센터에 입사, 업무를 시작했다. 박씨는 “대부분 국내 MBA가 1년 과정이라 자칫 배운 내용이 ‘수박 겉 핥기’가 될 수 있다”며 “배우는 동안 졸업이 목표가 아니라 실제 지식을 체득한다는 자세로 공부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Master's D*'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A]SDA Bocconi MBA in Italy  (0) 2008.11.02
[MBA]Consulting Firm  (1) 2008.10.13
[MBA]QS World Mba Tour in Seoul  (0) 2008.09.23

[MBA]Consulting Firm

Master's D* 2008. 10. 13. 12:56 posted by 빵쥬

남들은 학회도 하고 컨설팅동아리도 하고 하는데, 저는 사실 개인적인 사정으로 인해 학회활동을 못하다 보니 항상 정보가 없어 허덕였습니다. 나름 열심히 알아보고 준비해서 컨설팅업계에 들어오게 되었지만 학부 때 알던 내용들이 실제 국내 전략컨설팅 업계의 실정과는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어, 후배님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해서 이렇게 글을 씁니다.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의견임을 미리 밝혀두며, 저는 제가 밝힌 Big 5에 근무하지 않으니 어느정도는 객관적일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일반적으로 Global consulting ranking 은 여러분들 잘 아시는 Vault에 잘 나와있지만, 모두다 국내 진출한 업체들도 아니고 Seoul Office 의 사정은 Global 의 그것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Ranking을 매긴다는게 얼마나 어려운지는 잘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뭐 딴지 걸어도 좋고 서로 그러면서 조금이라도 더욱 도움이 될거라 기대합니다. (Vault 한번도 안가보신 분이면 꼭 한번 가셔서 consulting industry 에 들어가 훑어보시고 보세요)

http://www.vault.com/nr/consulting_rankings/consulting_rankings.jsp?consulting2006=2&ch_id=252 


1. 잘 아시겠지만 1위는 Mckinsey & company 입니다.

 세상 어디나 마찬가지이겠지만, 1위와 the others 는 확실히 차이가 납니다. 컨설팅 업계도  Big3 네 Big5 네 하지만, Reputation 이 가장 중요한 컨설팅 업계에서는 더욱 더 차이가 납니다.

 다만, 신입으로 들어가시게 되면 BA position 으로 입사하게 되며, RA를 따로 쓰지 않는 Mckinsey 의 특성상 타 firm 의 RA 역할까지도 해야 하는 점이 학부출신으로는 안좋습니다. 게다가 2년6개월 안에 승진하지 못하면 회사에서 나가야 하는 것또한 모르는 분이 많을겁니다. 직장은 최고의 직장이지만 학부출신에게는 장단점이 존재하는 거죠.

 그래도... 어쩌구 저쩌구 해도 NO.1 은 무조건 No.1 입니다. Mck 되면 무조건 여기루 가세요.

 
2. Mck 을 제외하고는 Seoul Office 에서 2-3개 업체 정도가 비슷비슷 합니다.

 Global Ranking 으로 2위인 BCG, 3위인 Bain, 5위인 Monitor 정도를 2위군으로 꼽을 수 있겠죠. 2위군을 형성하는 3사의 경우는 복지수준도 비슷하고 회사의 안정성이나 Seoul Office 의 경쟁력도 비슷하다고 보여집니다. Monitor의 경우는 국내에 일찍부터 진출하여 오랫동안 Client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Seoul Office 의 경쟁력이 매우 뛰어납니다. 하지만, Global reputation 에서는 아직 BCG나 Bain 에 조금 밀리기에 BCG,Bain > Monitor 라고 평가하는게 맞겠습니다.

 다만 2위군에서는 본인의 진로나 대상회사의 기업문화에 따라 선택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사실 되기만 하면 고맙지만 ^^;; ) BCG와 Bain은 Finance, 보험쪽에 상당히 강하며, Monitor는 전자,Telecom 분야에서 강세를 띄고 있다고 합니다.

 
3. Big 5의 마지막 자리는 AT.Kearney 에게 줍니다.

 Global Reputation 으로는 Vault 기준 12위에 있지만, 국내 Office 에서의 경쟁력은 좋은 편입니다. 한국에 오랫동안 진출하여 있었으며 AT.Kearney 출신 Alumni 들도 많이 활약하고 있어서 Seoul Office 기준으로 Big 5에 꼽는데는 주저함이 없습니다.

 하지만, 최근 모기업의 자금난으로 타격을 받아 어려움을 겪었고 (작년에 Monitor에 인수당할뻔 했었죠) 보수도 2위군보다 소폭 낮아 별도의 3번으로 빼냈습니다. 장기적으로는 아래 4번 그룹에 잡힐 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4. 한국에 진출한 나머지 Global Firm 으로 Mercer, Booz, ADL 이 있습니다.

Global Ranking 6위인 Mercer는 국내에 2005년 진출한 업체입니다. Global 순위로는 상당히 높지만 Seoul Office 의 경쟁력은 아직은 미미한 상태이며, men power나 기타 infra 측면에서 신입으로 들어가기는 아직 조심스럽습니다. 다만 보수 수준은 Global Big 5와 동일하며 앞으로 몇년간 performance 여하에 따라 평가는 결정될 것 같습니다.

Booz (부즈앨런해밀턴)의 경우는 Global Ranking 으로는 4위에 올라와 있지만, Seoul Office 는 Global Firm 이 아닙니다. Booz 의 Seoul Office 는 국내 Local Firm 이 Booz 본사에 License fee 를 지불하고 이름만 빌려서 운영하는 Licensee 입니다. 때문에 보수수준도 Local Firm 과 비슷한 정도에 그치고 운영 또한 국내에 국한하여 하고 있습니다. Global Firm 이라 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

ADL 은 Global Ranking 32위에 Rank 되어 있으며 Seoul Office 의 경우 국내업체인 Clayman에  역인수 당한 업체입니다. 이때 회사의 주축 세력들이 거의 다 빠져 나가서 현재 경쟁력이 상당히 약화된 상태입니다.


5. 이외에 Process consulting firm (IT consulting) 에도 전략Part 가 있습니다.

Global IT컨설팅 업체들인 Accenture, IBM, 딜로이트 모두 다 전략part를 내부적으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략이라 하더라도 Pure Management Firm 과는 업무의 Scope 이나 접근방법이 다르며, 보수에 있어서도 확연한 차이가 납니다. (Big5 전략펌의 60% 수준)  

보통 Client가 Process consulting 을 받다보면 전체적인 전략에의 문제도 발견하게 되는데 이럴 경우 Package 로 팔기 위해 팀이 존재한다고 보는 편이, 섭섭하긴 하지만 오히려 맞겠습니다.

 
출처: 다음까페 "MBA SCHOOL"

'Master's D*'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A]국내Mba  (0) 2008.10.16
[MBA]QS World Mba Tour in Seoul  (0) 2008.09.23
[MBA]추천도서 50권  (0) 2008.09.23

[MBA]QS World Mba Tour in Seoul

Master's D* 2008. 9. 23. 08:49 posted by 빵쥬

[행사일정]

□ 일   시 : 2008년 11월 4일 (화요일), 17:00 ~ 21:00

□ 장   소 : JW Marriott Seoul

□ 참가비 : 온라인 신청시 무료 입장 혹은 현장등록시 5천원의 입장료


Online 등록 사이트 ↓

http://www.topmba.com/wmt/index_wmt.php?module=wmt2&page=reg_form&eventid=534&PHPSESSID=q6euqr8c7bfq80kd346oa6lf27

'Master's D*'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A]Consulting Firm  (1) 2008.10.13
[MBA]추천도서 50권  (0) 2008.09.23
[MBA]전공별 Ranking('07기준)  (1) 2008.09.15